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레드풀
- nestjs
- Python
- 메모리구조
- 쿠버네티스
- 스케줄링
- 로드밸런서
- AWS
- 캐시서버
- alb
- 가비지컬렉션
- gunicorn
- nodejs
- CPU스케쥴링
- SQLAlchemy
- 싱글톤 디자인 패턴
- FastAPI
- 회고
- 백엔드 개발자
- 쿠베네티스
- Django
- 멀티스레드
- EKS
- 글또
- Alembic
- golang
- uvicorn
- 2022년
- K8S
- 분산처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메모리구조 (1)
서버에서 살아남기
메모리 구조
메모리 구조 컴퓨터의 메모리 구조는 크게 코드, 데이터, 스택, 힙 영역으로 나뉘며 각 영역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영역 실행할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CPU는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합니다. 함수, 제어문, 선언문 등의 코드가 저장됩니다. 컴파일 언어의 경우, 개발자가 작성한 원시 코드(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한 결과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python과 같은 인터프리터 언어의 경우는 개발자가 작성한 원시 코드가 먼저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 되고, 이 바이트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바이트 코드는 python 인터프리터가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중간 단계의 코드로 원시 코드를 CPU가 직접 해석하고 실행하는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는 ..
운영체제
2023. 7. 31. 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