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Django
- uvicorn
- 멀티스레드
- alb
- 쿠버네티스
- 메모리구조
- 쿠베네티스
- 2022년
- 캐시서버
- 백엔드 개발자
- golang
- gunicorn
- FastAPI
- CPU스케쥴링
- 스레드풀
- EKS
- Python
- 싱글톤 디자인 패턴
- Alembic
- nestjs
- 로드밸런서
- AWS
- nodejs
- 글또
- 가비지컬렉션
- SQLAlchemy
- 분산처리
- 회고
- 스케줄링
- K8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스레드풀 (1)
서버에서 살아남기
스레드 풀
개념 멀티 스레딩 환경에서 스레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나의 경우 Django에서 pool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threading 모듈로 멀티 스레딩만 구현한 상황 이 상황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 1) 대규모에 부적합 - 스레드 풀을 관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가 안됨 2) 데드락 가능성 - 스레드 간에 서로 의존성을 가지고 있다면 데드락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데드락 : 멀티스레드나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면서 무한 대기하는 상태 그렇다면 어떻게? 스레드풀을 이용하여 스레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합니다. 미리 정해진 개수의 스레드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며, 작업이 들어오면 생성된 스레드들을 이용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운영체제
2023. 7. 23.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