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에서 살아남기

라우터가 하는 일 본문

네트워크

라우터가 하는 일

개발롬 2022. 5. 29. 08:15

라우터가 하는 일

1)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 결정합니다.

    > 경로설정

2) 길이 결정되면 그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해줍니다.

    > 스위칭

 

위와 같은 일을 하려면 어떤 목적지에 가기 위해 어떤 경로를 이용해서 가야한다는 걸 적어놓은 라우팅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전원을 키는 순간,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기 시작하여 어떤 패킷이 길 안내 요청을 하면 테이블을 보고 길을 안내합니다.
전원이 꺼지면 라우팅 테이블 또한 모두 지워집니다.

라우터의 구성

1) 램
라우터를 운용하는 운용 시스템이 올라가 있습니다. 그리고 라우팅 테이블이 있습니다. 이 라우팅 테이블을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는 차이가 납니다. 운용 시스템, 라우팅 테이블 외에 구성 파일이 있습니다. 라우터의 주소는 뭐고, 라우팅 프로토콜은 무엇을 사용하고 보안은 어떻게 되고 등 라우터의 구성 파일이 램에 올라가서 라우터를 움직입니다.

2) NVRAM
램은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다 날아갑니다. 그래서 백업을 위해 필요한 다른 메모리입니다. 비휘발성이기 때문에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정보가 날아가지 않습니다.

백업이 필요한 것
라우터의 구성 파일 (ip address는 얼마고,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을 쓰며 등)

3) Flash 메모리
라우터를 움직이는 운영체제인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는 플레시 메모리에 저장됩니다.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고, 교체하거나 확장도 가능합니다.

NVRAM : 오직 구성 파일 저장용
Flash 메모리 : 주로 IOS이미지 파일 저장용

3) ROM
라우터의 기본적인 내용 (파워가 켜지면 어떤 순서로 라우터를 점검하고 어디서 운영체제를 가져다 메모리에 올릴 지 등)을 적어 놓습니다.

라우티드 프로토콜

-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대상자입니다.
ex. TCP/IP, IPX ..

- 라우팅 프로토콜은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1) 스태틱

2) 다이내믹

1) 스태틱

  • 장점
    사람이 라우터에 일일히 경로를 입력해주는 것입니다.
    그럼 라우터는 사람이 입력해 준대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면 됩니다. 즉, 라우터 자체에는 부담이 들지 않아 라우팅하는 속도도 향상되고 성능도 좋아지게 됩니다. 또한 보안에도 좋습니다. 왜냐면 외부에 자신의 정보를 알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 단점
    귀찮습니다. 사람이 일일히 라우터에 경로를 넣어줘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람이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그 경로가 수정될 때까지는 계속 문제가 있는 경로로 데이터를 보내게 됩니다.

2) 다이내믹

  • 장점
    사람이 입력해줄 필요없이 그때 그떄 문제를 판단해서 가장 좋은 길을 찾아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 단점
    위에 장점처럼 라우터가 할일이 많아져 라우터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어떤 길이 가장 빠른지 계산하고, 시간 지나면 바뀐 정보 없는지 확인해서 업데이트해야하고 등 할일이 많습니다.

출처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IP와 VPN  (0) 2023.07.27
브라우저에 www.google.com 을 입력하면?  (0) 2023.03.26
서버의 부하 분산  (0) 2022.08.21